경제 정보로 희망을 먹고 사는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투자를 실제 업으로 삼고 있으며 데이터 분석을 전공한 데이터/투자 전문가 입니다

자산관리

[자산관리] 2021년 자산 분석 기록

희망먹고살아요 2022. 1. 1. 00:26
반응형

무럭무럭 자라나라 나의 자산아 ! 제발~

2021년의 나의 자산 분석 기록

(1) 올해 나의 자산은 작년에 비해 얼마나 증가했을까?

아쉽게도 작년에 기록해 놓은 나의 순자산 기록이 부정확했다. 그래도 얼추 비슷하다고 해도, 2021년에는 순자산이 2.01배 증가하는 신기한 기록. 워낙 부끄러운 자산규모라서 가능한 수치이다. 그래도 2021년의 나에게 칭찬해 !

(2) 나의 근로소득은 얼마나 증가했을까?

2021년에는 근로소득이 꽤나 증가했던 해로 기억이 될 듯 하다. 2020년 대비 50% 증가하는 기록을 세웠는데, 사업소득이 아니라 근로소득이 증가한 이유에는 커리어 전환과 다양한 운이 한번에 작용. 2022년에는 올해와 비슷한 수준이거나 10~15% 증가하길 희망해 봄.

(3) 자산 증식에 근로소득과 투자소득은 각각 얼마나 기여했을까?

근로소득과 투자소득 중 투자로 인한 증가분이 52%, 근로소득으로 인한 증가분은 48%를 차지. 투자수익은 물론 실현수익은 아니고 평가손익 기준. 그래도 근로소득으로 인한 증가분보다 더 많은 증가분을 투자에서 얻었다니... 진짜 ?

(4) 그럼 2021년 12월 31일 기준 투자 수익률은 얼마이지?

주식과 펀드로 나눠서 계산을 하면, 주식은 현재 평가손익 기준 수익률 41%, 펀드55%. 단, 펀드는 전체 자산 중 10% 수준이고 주식은 전체 자산 중 40% 가까운 비중이므로 수익금 차이는 꽤나 많이 나는 편. 주식은 몇 개의 건이 대박나는 게 수익률에 중요하고, 펀드는 큰 펀드에서 장기로 들고가는 게 중요한 것 같음. 펀드는 투자 기간이 짧지 않은데, 월 정기납입 형태로 투자를 하고 있으므로 수익률이 기간에 비해 낮아보이는 측면은 있음.

(5) 근로소득의 수입 지출 비중은 ?

2021년 근로소득 중 65%는 저축 또는 투자를, 35%는 지출을 했음. 지출에는 보험과 부모님 용돈 등을 모두 포함한 금액인데 잘 모르겠는 항목들도 있어서 약간의 오차는 있을 수 있음. 생각보다 지출이 많다고 생각이 드는데, 내년에는 지출을 10%라도 줄이는 노력을 해보고자 함. 2022년에 가족 행사가 예정되어 있어서 지출이 줄어들 수 있을 지는 미지수.

(6) 연금 계좌로 투자하는 자산은 ?

전체 자산 중 10%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아직 전체 자산대비 조금 높은 비중인데, 다른 자산 증식을 하면서 점차 줄어들 것으로 예상.

(7) 그러나 여전히 난 무주택자

자산이 늘어도 나는 무주택자일 뿐. 눈물만 흘려봅니다.

(8) 그래서 ?

각각의 자산 항목을 정리한 게 확실히 큰 도움이 되었음. 나의 자산의 변화 과정과 소득과 지출을 기록하고 또 투자자산에 대해 정리하는 습관은 나의 자산을 관리하고 계획을 세우는 데 확실히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확신 ! 2021년 마지막 날에 잘 정리한 것 같아서 뿌듯 !

자산에 대해 정리해 보는 시간 가져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