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정보로 희망을 먹고 사는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투자를 실제 업으로 삼고 있으며 데이터 분석을 전공한 데이터/투자 전문가 입니다

투자아이디어

[휴림로봇] 이큐셀 인수로 2차전지분야 진출 ! 산업용로봇과 서비스로봇, 재무성과, 주가추이, 변동성확대

희망먹고살아요 2024. 11. 13. 23:56
반응형

안녕하세요, 희망먹고 살아요 입니다 ^_^ 투자 정보로 미래 희망을 먹고 사는 사람이죠 ㅎㅎ 오늘은 제가 관심있는 로봇 기업 휴림로봇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2차전지 자동화장비 업체인 이큐셀을 인수하며 2차전지 시장으로 진출이 예상되어 더욱 주목받고 있는 회사입니다 :) 그럼 제품군부터 재무상황, 미래 전략, 주가추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휴림로봇은 1999년 2월 26일에 설립된 산업용 로봇 및 자동화 장비 전문 기업입니다. 주요 사업 영역은 제조업용 로봇, 로봇 응용 시스템, 그리고 서비스용 로봇 개발 및 생산입니다.

회사 개요

  • 설립일: 1999년 2월 26일
  • 본사 위치: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4산단6길27 (천안 제4산업단지)
  • 주요 제품: 제조업용 및 서비스용 로봇

주요 사업 분야

  1. 제조업용 로봇: 직각좌표 로봇, 리니어 로봇, 스카라 로봇, 데스크탑 로봇 등을 생산합니다.
  2. 트랜스퍼 로봇: Wafer Transfer Robot, LCD Transfer Robot 등을 생산합니다.
  3. 반도체 장비: EFEM, LPM, Pre Aligner, Sorter System 등을 생산합니다.
  4. 정밀 스테이지: Gantry Stage, Hybrid Type, Air bearing Type 등을 생산합니다.
  5. 시스템 사업: 전자부품 장비, Eco-Green, 핸들러, 스크류 체결기 등을 생산합니다.
  6. 서비스 로봇: 에듀테인먼트와 안내 서비스 로봇 비즈니스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기업 특징

휴림로봇은 "Global 로봇 전문 기업"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품질 향상을 위해 2003년 품질 보증팀 내 시험실을 개설하였고, 2005년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을 받았습니다. 또한, 국내외 시장 진출을 위해 서울, 대구, 중국 상해와 심천에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휴림로봇은 지속적인 R&D 투자인적 자원 개발을 통해 로봇 기술 혁신에 주력하고 있으며, 한국과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휴림로봇의 주요 제품군

휴림로봇의 주요 제품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로봇과 자동화 장비입니다. 주요 제품군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산업용 로봇

  1. 직각좌표 로봇
    • 정밀한 위치 제어가 필요한 작업에 적합
    • 주로 조립, 검사, 포장 등의 공정에 사용
  2. 스카라 로봇
    • 고속, 고정밀 작업에 적합
    • 전자 부품 조립, 피킹 등의 작업에 주로 활용
  3. 데스크탑 로봇
    • 소형 정밀 작업에 적합
    • 실험실, 소규모 생산 라인 등에서 사용
  4. 리니어 로봇
    • 직선 운동이 필요한 작업에 적합
    • 물류 이송, 대형 부품 핸들링 등에 활용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장비

  1. 트랜스퍼 로봇
    • Wafer Transfer Robot: 반도체 웨이퍼 이송용
    • LCD Transfer Robot: 대형 LCD 패널 이송용
  2. EFEM (Equipment Front End Module)
    •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웨이퍼 이송 및 저장 관리
  3. LPM (Load Port Module)
    • 웨이퍼 카세트의 자동 로딩 및 언로딩 시스템
  4. Pre Aligner
    • 웨이퍼의 방향 및 중심을 정렬하는 장비
  5. Sorter System
    • 제품의 자동 분류 및 정렬 시스템

정밀 스테이지

  1. Gantry Stage
    • 대면적 정밀 이송이 필요한 작업에 사용
  2. Hybrid Type Stage
    • 다양한 축 조합으로 복합적인 움직임 구현
  3. Air bearing Type Stage
    • 초정밀, 초고속 이송이 필요한 작업에 활용

시스템 사업 제품

  1. 전자부품 장비
    • PCB 조립, 검사 등 전자 제조 공정용 장비
  2. Eco-Green 장비
    • 환경 친화적인 제조 공정을 위한 장비
  3. 핸들러
    • 자동화된 부품 취급 및 이송 시스템
  4. 스크류 체결기
    • 자동화된 나사 체결 시스템

서비스 로봇

  1. 에듀테인먼트 로봇
    • 교육과 엔터테인먼트를 결합한 로봇 제품
  2. 안내 서비스 로봇
    • 공공장소나 상업 시설에서 사용되는 안내 로봇

이러한 다양한 제품군을 통해 휴림로봇은 제조업,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자 산업 등 여러 분야의 자동화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휴림로봇의 매출 구성

휴림로봇의 매출 구성은 다음과 같이 제품군별로 나뉩니다:
  1. 직각좌표 로봇 외 (제조업용 로봇):
    • 매출 비중: 약 46.9%
    • 이는 회사의 주력 사업 분야입니다.
  2. 로봇응용시스템:
    • 매출 비중: 약 85.40% (내수), 14.60% (수출)
  3. 자동차 차체와 결합되는 바닥재:
    • 매출 비중: 100% (내수)
  4. 서비스 로봇:
    • 2021년 말 기준 약 9%의 매출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5. 기타 제품:
    • 구체적인 비중은 명시되지 않았지만, 나머지 매출을 구성합니다.
주목할 점:
  • 2021년 말 기준으로 전체 매출액의 약 80%가 직각좌표 로봇, 로봇응용시스템 등 산업용 로봇에서 발생했습니다.
  • 서비스 로봇 부문은 성장하고 있지만, 아직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 회사는 산업용 로봇 시장에서의 경쟁 심화로 인해 수익성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장비 시스템 시장 진출 등 새로운 사업 영역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매출 구성은 휴림로봇이 주로 산업용 로봇 분야에 집중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동시에 서비스 로봇 등 새로운 분야로의 확장을 시도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휴림로봇의 주요 서비스 로봇 제품

휴림로봇의 주요 서비스 로봇 제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테미(temi):
    • 휴림로봇의 대표적인 서비스 로봇 제품입니다.
    • 이동형 AI 로봇으로, 안내 및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수행합니다.
    •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방역케어 로봇으로도 활용되었습니다.
  2. 테트라 DS-5:
    • 최근에 출시된 서비스 로봇 제품입니다.
  3. 제니보:
    • 휴림로봇이 생산하는 지능형 로봇 중 하나입니다.
휴림로봇은 서비스 로봇 부문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2021년 말 기준으로 서비스 로봇 매출은 전체 매출의 약 9%(23억 원)를 차지했으며, 이는 회사의 성장 분야 중 하나로 볼 수 있습니다. 회사는 다양한 분야의 업체들과 협업하여 서비스 로봇의 실제 현장 수요와 니즈를 반영한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단순히 보여주기 위한 로봇이 아닌, 실제 사용 환경에서 필요로 하는 기능을 갖춘 로봇을 개발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휴림로봇의 재무성과

휴림로봇의 최근 5년간 주요 재무성과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 원)

연도 매출액 매출원가 매출총이익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2023 82,665 69,565 13,099 -1,862 681
2022 55,474 46,698 8,776 -7,468 -11,939
2021 27,316 20,298 7,017 -2,973 -39,221
2020 20,729 17,832 2,897 -8,908 40,983
2019 17,620 15,054 2,566 -5,172 -9,519
주요 특징:
  1. 매출액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3년에는 82,665백만 원을 기록했습니다.
  2. 매출총이익도 꾸준히 증가하여 2023년에는 13,099백만 원에 달했습니다.
  3. 영업이익은 계속해서 적자를 기록하고 있지만, 2023년에는 적자폭이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4. 당기순이익은 변동이 큰 편이며, 2023년에는 681백만 원의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휴림로봇의 매출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나, 수익성 측면에서는 아직 개선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휴림로봇의 이큐셀 인수

휴림로봇의 이큐셀 인수 과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1. 최초 인수 계획:
    • 휴림로봇은 이큐셀 지분 86.65%를 597억원에 양수하고, 380억원의 신주를 인수할 계획이었습니다.
  2. 인수 철회:
    • 2023년 7월, 이큐셀의 상장폐지 결정으로 인해 휴림로봇은 인수 계획을 철회했습니다.
    • 휴림로봇은 주주가치 훼손 우려를 철회 이유로 들었습니다.
  3. 재인수 결정:
    • 2023년 10월, 휴림로봇은 이큐셀 인수를 재추진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이아이디와 이화전기로부터 이큐셀 주식 600만주(11.37%)를 73억8000만원에 인수하기로 했습니다.
  4. 최종 인수 완료:
    • 2023년 11월, 휴림로봇은 이큐셀의 최대주주가 되었습니다.
    • 휴림로봇은 이큐셀 지분 46.02%(2428만2989주)를 확보했습니다.
  5. 인수 과정의 특이사항:
    • 휴림로봇은 당초 597억원 규모의 인수 계획을 73억8000만원으로 대폭 축소했습니다.
    • 주당 인수가격도 2000원에서 1230원으로 낮추었습니다.
  6. 재무적 영향:
    • 휴림로봇은 이큐셀 인수를 위해 597억원의 유상증자를 실시했으나, 실제 인수 금액은 73억8000만원에 그쳤습니다.
    • 이로 인해 휴림로봇은 상당한 잉여 자금을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7. 시장 반응:
    • 이큐셀 최대주주 등극 소식에 휴림로봇 주가가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휴림로봇의 의사결정 번복과 대규모 자금 조달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으며, 회사의 향후 전략과 자금 운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휴림로봇의 주가추이와 향후전망

휴림로봇의 주가 추이, 시가총액, PER, PBR, EPS 등 재무지표

최근 주가 동향

휴림로봇의 주가는 최근 이큐셀 인수 관련 소식으로 큰 변동을 보였습니다. 11월 13일 기준 휴림로봇은 전 거래일 대비 29.98% 상승한 1539원에 거래되었으며, 시가총액은 168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이큐셀의 최대주주가 되었다는 소식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주가 변동 요인

  1. 이큐셀 인수 관련 이슈:
    • 휴림로봇은 이큐셀 지분 46.02%(2428만2989주)를 확보하며 최대주주가 되었습니다.
    • 이 과정에서 인수 철회와 재추진 등 오락가락한 의사결정으로 시장에 혼란을 주었습니다.
  2. 재무 상황:
    • 휴림로봇은 최근 몇 년간 지속적인 영업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 2023년 상반기에는 66억원의 매출과 118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습니다.
  3. 대규모 자금 조달:
    • 이큐셀 인수를 위해 597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했으나, 실제 인수 금액은 73억8000만원에 그쳤습니다.

향후 전망

  1. 사업 다각화 가능성:
    • 휴림로봇은 이큐셀 인수를 통해 2차전지 장비 사업에 진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AI, AIoT 기반 사업 등 신성장동력 확보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2. 재무 구조 개선 필요성:
    • 지속적인 영업적자와 불안정한 재무구조 개선이 시급한 과제입니다.
    • 잉여 자금의 효율적 활용이 향후 기업 가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3. 시장 신뢰도 회복 과제:
    • 이큐셀 인수 과정에서의 오락가락한 의사결정으로 인해 손상된 시장 신뢰도 회복이 필요합니다.
  4. 본업 경쟁력 강화:
    • 산업용 로봇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와 매출 회복이 중요한 과제입니다.

휴림로봇의 향후 주가는 이큐셀 인수 후 시너지 효과 창출 여부, 신규 사업 진출의 성공 여부, 그리고 본업에서의 실적 개선 등에 따라 크게 좌우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대규모로 조달한 자금의 효율적 활용과 투명한 경영 의사결정이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본 글은 주식 추천이 아니며, 정보 제공 목적으로 각 개인의 합리적인 판단 하에 성공적인 투자 되시기 바랍니다 :) 감사합니다 !

 

휴림로봇의 이큐셀 인수와 주가 변동성 확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