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 희망먹고살아요 입니다!
오늘은 국내 증시와 글로벌 경제 동향에 대해 알아볼게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과 미중 갈등이 우리 시장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정량적 수치로 분석해드립니다.
1️⃣ 국내 증시 동향: 기관 자금이 증시를 살렸다!
📅 2025년 4월 18일, 국내 증시는 장초반 혼조세를 보였지만, 기관투자자들의 자금 유입 덕분에 상승 마감했습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 관련 이슈로 업종별 차별화가 뚜렷했습니다.
코스피 지수 현황
- 전 거래일 대비 +13.01포인트(+0.53%) 상승
- 마감: 2,483.42 → 2,500선 재도전 기회 확대
투자자별 매매 동향
- 기관투자자: +814억원 순매수
- 개인: -324억원 순매도
- 외국인: -1,038억원 순매도
코스닥 지수 현황
- 전일 대비 +6.02포인트(+0.85%) 상승
- 마감: 717.77
- 개인: +322억원 순매수
- 기관: +122억원 순매수
- 외국인: -222억원 순매도
2️⃣ 업종별 성과: 누가 올랐고, 누가 내렸나?
코스피 시장 업종별 성적표
- 기계장비: 3%대 상승 (최고 상승 업종)
- 섬유·의류: 2% 상승
- 비금속, 건설, 오락문화, 증권: 1%대 상승
- 화학, 부동산, 제조, 통신: 강보합
- 제약, 금속: 약보합
코스닥 시장 업종별 성적표
- 운송창고: 2% 상승 (USTR 정책 효과)
- 비금속, 금속: 1% 상승
- 통신, 건설, 제약, 운송장비, 유통: 강보합
- 화학, 종이·목재: 약보합
3️⃣ 주요 종목 실적: 대장주들의 성적표
코스피 시총 상위 종목들의 오늘 실적
- 현대차: +3% (자동차 대장주 강세)
- 기아: +2%
- KB금융: +2%
- NAVER: +2%
- 현대모비스: +2%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1%
- 한화오션: 강보합
- 삼성전자: 강보합
- 셀트리온: -1%
- LG에너지솔루션: -1%
코스닥 시총 상위 종목들의 실적
- 펩트론: +11% (최대 상승폭 기록)
- 알테오젠: +4% (바이오 강세)
- 리가켐바이오: +2%
- 삼천당제약: +2%
- 클래시스, 레인보우로보틱스, 휴젤, 에코프로: 약보합
- 에코프로비엠: -1%
- HLB: -1%
4️⃣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주요 요인
1. 서구권 금융시장 휴장 임박
- 내일은 성금요일 휴장으로 서구권 시장들이 한산한 거래량을 보였고, 우리 시장도 영향을 받았습니다.
- 거래량 감소로 인한 변동성 축소와 관망세가 확대되었습니다.
2. 미국 무역대표부(USTR) 정책 발표
- 개장 직전 중국 해운사에 미국 입항 시 수수료 부과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 해운주 투자심리는 개선되었으나, 제재 강도가 예상보다 약하다는 평가에 상승폭은 일부 제한되었습니다.
3. 업종별 호재 요인
- 맥쿼리증권: "한국 원자력 섹터 긍정적" 전망으로 원자력 관련주가 상승했습니다.
- 일라이릴리: 경구용 비만치료제 FDA 최종 임상시험 통과 소식에 관련 테마주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 이경민 대신증권 FICC리서치부 부장은 "산업별 차별화가 뚜렷한 장세"라고 평가했습니다.
5️⃣ 원/달러 환율, 하루 만에 다시 상승
오늘의 환율 상황
- 마감: 1,423.3원 (전일 대비 +4.4원 상승)
- 반등: 어제 1,410원대에서 오늘 1,420원대로 하루 만에 상승
- 거래 규모: 서울외국환중개와 한국자금중개에서 104억 800만 달러 거래
환율 상승 주요 원인
- 저가 매수세 유입으로 인한 국내 달러 매수 우위 현상
- 외국인 자금 이탈 지속 (코스피 6거래일 연속 순매도)
- 삼성전자 배당금 지급에 따른 역송금 수요
글로벌 환율 상황
- 달러인덱스: 99.39 (보합 수준 유지)
- 달러·엔 환율: 142엔대
- 달러·위안 환율: 7.30위안대
시장 분위기
- 미국-교역국 간 관세 협상은 진전 없음
- 성금요일 휴장으로 유럽·미국 시장 모두 휴장으로 달러화 움직임은 제한적
6️⃣ 글로벌 핫이슈: 중국 ADR 상장폐지 리스크
중국 기업들, 미국 증시에서 고전 중
최근 미국 증시에 주식예탁증서(ADR) 형태로 상장된 중국 기업들이 본토 시장보다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 증시 변동성 확대와 정부 차원의 상장폐지 압박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주요 중국 기업 4월 실적 비교 (홍콩 vs 미국 시장)
기업 홍콩 시장 미국 시장 격차
기업 | 홍콩시장 | 미국시장 | 격차 |
알리바바 | -15.08% | -17.67% | 2.59%p |
웨이보 | -18.75% | -19.64% | 0.89%p |
바이두 | - | - | 2%p+ |
징둥닷컴 | - | - | 2%p+ |
니오(전기차) | -5.53% | -7.61% | 2.08%p |
샤오펑(전기차) | - | - | 5.41%p (최대) |
미중 갈등 심화, 4가지 핵심 포인트
1. 상장폐지 리스크 급등
- 4월 9일: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 발언
- "중국의 84% 보복관세에 대응해 중국 기업 상장폐지도 고려 중"
- 원문: "모든 게 테이블 위에 있다고 생각한다"
2. 골드만삭스 분석
- 중국 ADR 상장폐지 확률: 66%
- 강제 상장폐지 시 주가 하락 예상: -9%
- 미국 투자자 강제 매각 규모: 약 8,000억 달러(약 1,138조원)
- 미국 기관 보유 중국 ADR 비중: 7% (홍콩 거래 제한 기관)
3. 규제 강화 진행 중
- 2월: 트럼프 대통령, 미국 상장 중국 기업 재무 감사 기준 조사 행정명령 시행
- 전문가들은 "미중 갈등이 중국 기업 상장폐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합니다.
4. 거시경제 불확실성 확대
- 관세 정책 변동으로 인한 증시 변동성 확대와 시장 신뢰도 하락
- 미국 달러 인덱스(DXY): 4월 들어 -4.63% 하락
- 미국 달러 가치 하락으로 미국 증시 투자 매력도 감소
- 톰 브루스(탱글우드토탈웰스매니지먼트 거시전략가): "관세가 기업 실적에 영향을 미칠 것은 확실하지만, 실적 전망은 매우 불확실하다"
⚠️ 본 글은 정보 제공용이며,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투자아이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세 유예는 국민 위한 게 아니다? 트럼프의 채권 몰빵! (4) | 2025.04.19 |
---|---|
네이버, 컬리에 10% 투자? 쿠팡 견제 본격화! 신선식품 시장의 지각변동📊 (13) | 2025.04.19 |
임상실패→4일 연속 하한가🔥 브릿지바이오, 상장폐지 위기 현실화? (0) | 2025.04.18 |
📊 한국은행의 금리동결: 왜 지금 금리를 더 내리지 않았나? 못했나? (3) | 2025.04.17 |
2030년 매출 10조 선언! 아이티센의 '블록체인+AI'가 미래 먹거리다! (0)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