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희망먹고 살아요 입니다 ^_^ 투자 정보로 미래 희망을 먹고 사는 사람이죠 ㅎㅎ 오늘은 제가 관심있는 제대혈은행과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회사인 메디포스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국내 1위 제대혈은행 서비스 운영 회사이며 무릎관절 줄기세포 치료제 카티스템으로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 그럼 제품군부터 재무상황, 미래 전략, 주가추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메디포스트는 2000년 6월 26일에 설립된 생물학적 제제 제조업 기업입니다. 회사의 주요 연혁과 제품군, 매출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연혁
- 2000년: 메디포스트 창립 및 제대혈은행 서비스 개시
- 2001년: 생명공학연구소 설립
- 2005년: 코스닥 상장, 카티스템 임상 승인
- 2012년: 카티스템 품목허가 획득 및 상용화
주요 제품군
- 줄기세포치료제
- 카티스템: 무릎 골관절염 치료제
- SMUP-IA-01: 주사형 골관절염 치료제 (개발 중)
- 뉴모스템: 기관지폐이형성증 치료제 (개발 중)
- 제대혈은행 서비스
- 셀트리: 국내 제대혈은행 점유율 1위
- 건강기능식품
- 모비타: 임산부 전용 제품부터 성인용 제품까지 다양한 라인업
- 화장품 사업
제품별 매출 구성 (2023년 기준)
- 제대혈은행: 47.6%
- 줄기세포치료제: 31.4%
- 건강기능식품: 13.9%
- 기타: 7.0%
카티스템은 메디포스트의 주력 제품으로, 2012년 출시 이후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연매출 200억원을 돌파하며 국내 줄기세포치료제 중 최대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누적 투여 환자 수도 3만명을 넘어섰으며, 출시 이래 2023년까지 연평균 36%의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메디포스트는 현재 카티스템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미국과 일본에서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며, CDMO 사업에도 진출하는 등 사업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국내 1위 제대혈은행 사업자 메디포스트
기술적 경쟁력
- 최첨단 줄기세포 기술: 메디포스트는 최첨단 줄기세포 기술을 기반으로 제대혈의 줄기세포 추출, 보관, 이식에 있어 독보적인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우수한 보관 기술: 실제 질병 치료 이식으로 검증된 우수한 제대혈 보관 기술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초저온(-196도) 냉동보관기술은 제대혈 보관의 핵심 기술입니다.
- 높은 세포 생존율: 메디포스트는 일본 진출 시 제대혈 내 세포생존율이 일본 업체들보다 높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사업적 경쟁력
- 시장 선점 효과: 2000년에 제대혈 은행을 설립하여 국내에 제대혈 보관 및 이식 시스템을 정착시켰습니다.
- 높은 신뢰도: 단 한 건의 문제도 발생시키지 않은 보관 노하우와 다수의 치료용 제대혈 이식 경험을 통해 높은 신뢰를 쌓았습니다.
- 지속적인 마케팅 활동: 예비 부모들을 위한 온·오프라인 이벤트를 통해 다양한 정보와 혜택을 제공하며 제대혈 가치 알리기 캠페인을 꾸준히 전개해왔습니다.
- 다양한 보관 옵션: 장기 보관 상품과 멀티백 보관 서비스 등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여 소비자의 선택폭을 넓혔습니다.
- 사회공헌 활동: 2003년부터 백혈병 환아 형제자매의 제대혈 무료 보관과 다자녀/쌍둥이 가정 대상 제대혈 보관 비용 지원 등의 사회공헌 활동을 진행해왔습니다.
이러한 기술적, 사업적 경쟁력을 바탕으로 메디포스트의 제대혈은행 '셀트리'는 국내 가족제대혈 신규 보관 시장에서 60-70%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독보적인 1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메디포스트의 줄기세포치료제 카티스템(Cartistem)
국내 현황
- 2012년: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MFDS)로부터 무릎 골관절염 치료제로 품목허가 획득
- 2023년: 누적 투여 환자 수 30,000명 돌파
- 2023년: 연매출 200억원 돌파, 출시 이후 연평균 36% 성장률 기록
해외 임상 현황
일본
- 2021년 3월: 일본 PMDA로부터 3상 임상시험 승인 획득
- 2023년 1월: 일본 3상 임상시험 첫 환자 투약 완료
- 현재: 3상 임상시험 환자 등록 90% 이상 완료, 환자 선별 및 투약 진행 중
- 목표: 2024년 하반기 환자 투약 완료
미국
- 1/2상 임상시험 완료
- 현재: 3상 임상시험을 위한 IND 신청 준비 중
- FDA와 임상 프로토콜 최종 협의 단계
임상 특징
- 일본과 미국에서 1상과 2상을 건너뛰고 직접 3상으로 진입
- 일본 3상 임상시험:
- 대상: 경증에서 중등도(K&L 등급 2-3)의 무릎 골관절염 환자 130명
- 방법: 카티스템 투여군과 히알루론산 투여 대조군으로 나누어 진행
- 기간: 수술 후 52주 추적 관찰
향후 계획
- 일본: 2024년 하반기 환자 투약 완료 목표
- 미국: 향후 2-3년 내 3상 임상시험 시작 예정
- 글로벌 제약사들과 기술 수출 등 사업 논의 진행 중
카티스템은 동종 제대혈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치료제로, 기존 관절염 치료제와 달리 손상된 연골 조직을 재생시키는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공합니다. 메디포스트는 카티스템의 글로벌 진출을 통해 전 세계 무릎 골관절염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메디포스트의 PEF(사모펀드)로부터 대규모 투자와 유상증자
2022년 투자 유치
- 총 규모: 1,400억원
- 투자자: 스카이레이크에쿼티파트너스와 크레센도에쿼티파트너스 컨소시엄
- 투자 방식:
- 700억원: 의결권부 전환우선주(CPS) 발행
- 700억원: 전환사채(CB) 발행
- 추가로 양윤선 대표의 구주 40만주를 200억원에 인수
이를 통해 스카이레이크와 크레센도는 각각 메디포스트의 10.35% 지분을 확보하여 공동 최대주주가 되었습니다.
2023년 유상증자
- 규모: 약 1,200억원
- 방식: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 목적: 카티스템의 미국 임상 3상 진행 자금 확보
- 주요 내용:
- 발행 예정 주식 수: 1,321만5859주 (전체 발행 주식의 약 53.41%)
- 주당 발행 예정가: 9,080원
자금 사용 계획
- 2022년 투자금 (1,400억원):
- 850억원: 캐나다 OmniaBio 주식 취득 및 전환사채 인수
- 550억원: 미국법인 임상 3상 초기 자금
- 2023년 유상증자금 (1,200억원):
- 987억원: 카티스템 미국 임상 3상 진행
- 145억원: 한국 실사용 근거(RWE) 확보
- 67억원: 법인 운영비
이러한 대규모 투자와 유상증자를 통해 메디포스트는 글로벌 시장 진출과 카티스템의 미국 임상 3상 추진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PEF(사모펀드)가 메디포스트에 투자한 이유
1. 세포유전자치료제(CGT) 분야의 성장 가능성
PEF는 메디포스트가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Contra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Organization) 사업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보고 투자하였습니다. 이 분야는 급성장하고 있으며, 메디포스트의 기술력과 시장 잠재력을 활용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2. 카티스템의 미국 임상 3상 연구개발비 지원
카티스템은 메디포스트의 주요 제품으로, 미국 임상 3상 진행을 위한 자금 확보가 필요했습니다. PEF는 이 연구개발비를 지원함으로써 카티스템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가속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습니다.
3. 경영 노하우와 글로벌 네트워크 활용
메디포스트의 기업 가치 제고와 글로벌 시장 공략에 있어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PEF는 메디포스트가 글로벌 세포유전자치료제 전문 기업으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경영 관리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4. 신규 성장 동력 확보
메디포스트는 급성장하는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 사업에 진출하게 되며, 이는 회사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스카이레이크와 크레센도의 투자는 메디포스트가 이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더 나아가 북미 시장에서도 성공적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전략적 결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PEF는 메디포스트에 대한 투자를 결정하였다고 알려졌으며, 이를 통해 양측 모두에게 윈-윈(win-win) 상황을 창출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메디포스트의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과 성장 전략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
- 일본 시장 진출
- 카티스템 일본 임상 3상 환자 투약 완료
- 2026년 일본 신약허가신청(BLA) 제출 계획
- 2027년부터 일본 시장 상업화 및 매출 목표
- 미국 시장 진출
- 카티스템 미국 임상 3상 준비 중
- 2025년 임상시험계획(IND) 신청 및 승인 목표
- 미국 법인 '메디포스트 아메리카'가 주도
-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과의 파트너십
- 국제 행사 참여를 통한 기술수출 및 사업개발 논의
- BioJapan, Cell & Gene Meeting on the Mesa 등 참가
성장 전략
- CDMO 사업 확대
- 캐나다 옴니아바이오 인수를 통한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 사업 진출
- 북미 지역 내 혁신 허브로 자리매김 목표
- 제품 라인업 강화
- 카티스템 외 SMUP-IA-01 등 무릎 골관절염 치료제 라인업 확대
- 미국 FDA로부터 SMUP-IA-01의 국내 임상 1상 데이터 인정받아 2상 직행 가능
- 실사용 근거(RWE) 확보
- 약 1,000명의 국내 카티스템 치료 환자 대상 RWE 분석 중
- 일본 보험급여 및 품목허가 제출을 위한 근거 연구 자료로 활용 계획
- 기술력 강화
- 제대혈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및 상업화 경험 활용
-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줄기세포치료제 개발 추진
- 전략적 투자 유치
- 글로벌 임상 및 사업 확장을 위한 대규모 투자 유치
메디포스트는 이러한 전략을 통해 글로벌 세포유전자치료제 전문 기업으로 성장하고, 카티스템을 상업적으로 성공한 첫 번째 글로벌 줄기세포치료제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메디포스트의 최근 재무성과와 주요 재무지표
2024년 상반기 실적
- 2분기 매출액: 185억원 (전년 동기 대비 9.7% 증가)
- 2분기 영업이익: 5억원
- 반기 누적 영업이익: 22억원
2024년 3분기 누적 실적 (연결 기준)
- 매출액: 528억원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
- 영업이익: -298억원 (적자 지속)
- 당기순이익: -183억원 (적자 지속)
주요 재무지표 (2024년 9월 말 기준, 연결)
- 자산 총계: 4,252억원
- 부채 총계: 1,350억원
- 자본 총계: 2,902억원
- 유동자산: 1,481억원
- 재고자산: 152억원
실적 분석
- 매출 성장
- 제대혈은행 사업 부문의 매출 성장이 전체 매출 증가를 견인
- 카티스템® 등 줄기세포치료제 매출도 꾸준히 증가
- 수익성
- 2024년 상반기까지 흑자 기조 유지
- 3분기 누적 기준으로는 적자 지속, 주로 연구개발비 증가로 인한 것으로 추정
- 비용 구조
- 연구개발비가 큰 폭으로 증가 (전년 동기 대비 74.6% 증가)
- 인건비도 18% 증가
- 현금흐름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74억원 (2024년 9월 누적)
- 기말 현금 및 현금성자산: 226억원
메디포스트는 매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글로벌 임상 진행 등으로 인한 연구개발비 증가로 수익성에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회사는 카티스템®의 일본 및 미국 임상 진행, CDMO 사업 확대 등을 통해 중장기적인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메디포스트의 주가 추이
- 카티스템 글로벌 진출 기대감
- 일본 임상 3상 투약 완료로 결과에 대한 기대감 상승
- 미국 FDA와 임상 3상 프로토콜 협의 중
- 실적 개선 가능성
- 2024년 2분기 매출액 18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7% 증가
- 카티스템 매출 지속 성장 중
- 초고령사회 수혜주로 주목
- 무릎 골관절염 치료제 수요 증가 예상
주의해야 할 점들도 있습니다:
- 수익성 개선 필요
- 2024년 3분기 누적 영업이익 적자 지속
- 연구개발비 부담
- 글로벌 임상 진행으로 인한 비용 증가
- 시장 변동성
- 제대혈 테마 주가 변동에 영향 받을 수 있음
전반적으로 메디포스트의 주가 전망은 카티스템의 글로벌 진출 성공 여부와 실적 개선에 크게 좌우될 것으로 보입니다. 글로벌 임상 결과와 사업 확장 성과를 지켜볼 필요가 있겠네요 !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주식 추천이 아닙니다. 모두 합리적인 판단 하에 성공적인 투자 되시기 바랍니다 :)
감사합니다 !
'투자아이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폴라리스AI] 글로벌 사용자만 1억2천만명, AI 제품을 적용하다 ! (1) | 2024.12.06 |
---|---|
[충격과 공포] 비상계엄령 선포와 한국 경제에 미칠 악영향, 외신에서 바라보는 한국의 경제 상황 정리 ! (3) | 2024.12.05 |
[케이엘넷] 항만물류 소프트웨어의 강자 ! 빅데이터 솔루션 결합으로 인공지능 도입 가시화 (1) | 2024.12.03 |
[하이젠알앤엠] 휴머노이드 로봇의 스마트 액츄에이터 ! 제품군부터 경쟁력, 주가추이까지 (2) | 2024.12.02 |
[웹케시] 핀테크 소프트웨어의 강자, AI 출시, KT 투자유치, 클라우드 AI 사업 확장 기대 (5) | 2024.11.25 |